Soeun Sim

권력 연구의 기본 구도

Bachrach, Peter and Morton S. Baratz. 1962. “The Two Faces of Power.”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6(4):947-952. Riker, William H. 1964. “Some Ambiguities in the Notion of Power,” The American Political Science Review 58(2):341-349.

Oct 31, 2025
권력 연구의 기본 구도

권력 연구의 기본 구도

1. 엘리트주의 vs 다원주의

구분
엘리트주의(사회학자)
다원주의(정치학자)
기본 전제
권력은 위계적이며 소수 엘리트에게 집중
권력은 특정 계층에 고정되지 않고 이슈별로 분산
연구 출발점
“권력 구조는 존재한다”는 전제
“정말 누가 지배하는가?”라는 회의적 질문
한계
추측적, 경험적 검증 부족
표면적 사례만 보고 ‘비결정적 권력’을 간과

→ 두 입장은 서로 다른 가정과 방법론 위에서 출발하므로 결론이 다름.

바흐라흐 & 바라츠의 비판: “권력의 두 얼굴”

1. 권력의 첫 번째 얼굴 (First face of power)

  • 의사결정 권력 (Decision-making power)
    • → 누가, 어떤 행동으로, 어떤 결과를 만들어내는가?

      → 다원주의자들이 분석하는 전통적 권력 개념.

      문제: 결정에 오르지 못한 사안은 분석 대상에서 제외됨.

2. 권력의 두 번째 얼굴 (Second face of power)

  • 비결정적 권력 (Non-decision-making power)
    • → 특정 이슈가 논의조차 되지 못하게 막는 힘.

      → 규범, 제도, 분위기, 문화적 금기 등을 통해 의제 형성 자체를 통제.

      샷츠슈나이더(Schattschneider) 의 “편향의 동원(mobilization of bias)”과 연결.

3. 핵심 논지

  • 권력은 단지 “결정의 순간”에서만 작동하지 않는다.
  • 진정한 권력 분석은 의제 설정과 침묵의 구조까지 포함해야 함.

다원주의 비판

  • 달(Dahl), 폴스비(Polsby)
    • 권력을 ‘참여와 결정’으로만 정의.
    • ‘핵심적 쟁점(key issue)’을 선호 충돌로 파악.
  • 바흐라흐 & 바라츠의 반박
    • 진짜 중요한 쟁점은 기존 가치·규범 구조를 흔드는 사안임.
    • 다원주의의 분석 틀은 이미 엘리트가 만든 “가짜 합의(false consensus)” 위에 서 있음.
    • 달의 『Who Governs?』는 표면적 무관심을 구조적 권력 부재로 오해.

분석 확장

구분
핵심 개념
분석 단위
Egocentric 권력
A → B로의 직접적 영향 (행위 중심)
개인/행위
Relational 권력
관계망 속에서의 상호작용 (network 중심)
관계
Structural 권력
제도·규범·담론이 특정 행위 가능성 자체를 규정
구조
Foucauldian 권력
권력은 억압이 아니라 생산 — 지식·규율·담론을 통해 주체를 구성
담론/지식 체계

비결정적 권력의 측정 가능성

  • “구조적 비교”가 가능할 때 비결정적 권력은 관찰·측정 가능
    • 서로 유사한 구조에서 어떤 이슈는 공론화되고, 어떤 이슈는 묻히는가?
    • 결과의 변이(variation in outcomes) 를 통해 간접 확인 가능.
 

권력은 ‘조건부 개념(conditional concept)’

권력은 절대적·고정적 실체가 아니라, 어떤 맥락과 조건 하에서 “A가 B에게 어떤 결과를 강요할 수 있는가”로 정의된다.
  • “조건부”라는 말은 권력이 ‘항상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 특정한 상황, 관계, 제도적 맥락 속에서만 작동한다는 뜻.

  • 권력은 결과에 대한 통제력(control over outcomes) 으로 이해할 수 있음.

1세대 권력 연구 (Ego-oriented / Outcome control 중심)

구분
핵심 내용
접근 방식
Ego-oriented approach: A가 B에게 영향력을 행사했는가에 초점
권력 개념
권력 = 결과 통제력 (control of outcome)
분석 단위
개인 행위자 중심 (A→B의 행위 연쇄)
특징
권력을 ‘보이는 행동’으로 측정하려 함 (기명투표, 결정 사례 등)

→ 결과에 기반한 결정적 권력(decision-making power) 중심.

→ 하지만 현실에서는 모든 결과가 관찰 가능하지 않기 때문에 한계 존재.

Negative Power의 존재

권력은 “무언가를 하게 만드는 힘”뿐 아니라

“무언가를 못하게 만드는 힘(negative power)”으로도 존재한다.

  • 작은 쟁점(small issue) 일수록 이러한 부정적 권력 행사 가능성이 큼.
    • → 눈에 띄지 않기 때문에 저항 없이 작동.

  • 예: 의제가 되지 못하도록 막거나, 논의 자체를 소멸시키는 비결정적 권력.
  • 이는 Bachrach & Baratz의 두 번째 얼굴, Schattschneider의 “mobilization of bias”로 이어짐.

수학적/구조적 권력 측정 시도

(1) Pivotal Power: “결과를 바꿀 수 있는 한 표”

  • 권력을 결과에 대한 통제로 정의할 때, “pivotal position” 개념 등장.
  • 모든 행위자가 한 표씩 가질 경우, pivotal이 될 확률은 동일.
    • → 하지만 실제 투표에서는 기명투표(roll-call voting) 가 아니면 확인 불가.

(2) 가중투표 시스템 예시 – 초기 EEC (유럽경제공동체)

국가
투표 가중치
프랑스, 독일, 이탈리아
3표씩
네덜란드, 벨기에
2표씩
룩셈부르크
1표
총합
14표
가결 조건
8표 이상
  • Minimum Winning Coalition (MWC):
    • → 결정을 통과시킬 수 있는 최소한의 연합.

      → 한 국가가 몇 번 MWC에 포함되는지를 세어 Banzhaf Power Index(Banzhaf 권력 지수) 등으로 권력 측정 가능.

※ 계산 방식: 각 국가가 포함된 winning coalition 중 자신이 제외되면 losing coalition이 되는 경우의 수를 세어 반자프 지수 산출. (값은 표준화된 형태)

권력 개념의 변천

세대
핵심 초점
대표 개념
한계
1세대
결과 통제 (Ego-centric)
Pivotal Power, Voting Power
단일 행위자 중심, 비결정적 권력 무시
2세대
의제 통제 (Agenda Control)
Non-decision-making power
구조·규범적 조건은 여전히 간과
3세대
구조적 권력 (Structural Power)
Institutional bias, rule setting
권력의 ‘생산적’ 측면 간과
4세대 (푸코 이후)
권력-지식의 생산
Discursive power
측정 어려움, 과도한 해석 가능
 

You might also like

BlogPro logo
Made with BlogPro